맨위로가기

말모이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모이는 1940년대 일제강점기 경성을 배경으로, 조선어학회에서 사전을 만들기 위해 낱말을 모으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문맹이었던 극장 매표원 판수가 조선어학회에서 일하며 사전 제작에 참여하게 되고, 친일파 아버지에 반감을 가진 류정환과 함께 민족의 언어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담았다. 영화는 1930년대 후반부터 1940년대 한국어 탄압이라는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조선어학회 사건을 모티브로 제작되었다. 2019년 개봉하여 280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으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를 소재로 한 영화 - 스팽글리쉬 (영화)
    《스팽글리쉬》는 2004년 제임스 L. 브룩스 감독의 코미디 드라마 영화로, 멕시코 출신 싱글맘 플로르가 미국인 가정의 가정부로 일하며 문화적 차이와 소통의 어려움, 가족 간의 관계를 따뜻하게 그린 작품이다.
  • 언어를 소재로 한 영화 - 프로페서 앤 매드맨
    《프로페서 앤 매드맨》은 19세기 영국을 배경으로 옥스퍼드 영어 사전 편찬 과정에서 언어학자 제임스 머레이와 정신 질환을 앓는 윌리엄 체스터 마이너가 만나 협력하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로, 사이먼 윈체스터의 소설 『박사와 광인』을 원작으로 하며 멜 깁슨과 숀 펜이 주연을 맡았다.
  • 롯데 엔터테인먼트 영화 - 덕혜옹주 (영화)
    허진호 감독 연출, 손예진 주연의 영화 《덕혜옹주》는 권비영의 소설을 원작으로 일제강점기 덕혜옹주의 삶과 귀환을 그린 작품으로,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혼합하여 흥행과 함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롯데 엔터테인먼트 영화 - 콘크리트 유토피아
    대한민국을 덮친 대지진 이후 유일하게 남은 황궁 아파트를 배경으로, 생존자들의 권력 다툼과 욕망을 그린 재난 스릴러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사회 붕괴 속 인간 본성과 사회 질서를 탐구하고 소외 계층에 대한 차별적 시선을 은유적으로 드러낸다.
  • 실화에 바탕한 영화 - 그때 그사람들
    2005년 개봉한 임상수 감독의 블랙 코미디 영화 《그때 그사람들》은 10·26 사건을 소재로 권력의 암투와 허망함을 풍자적으로 그린 작품으로, 칸 영화제에 초청되었으나 법정 공방을 겪었다.
  • 실화에 바탕한 영화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영화)
    마가렛 미첼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남북 전쟁과 재건 시대를 배경으로 스칼렛 오하라와 레트 버틀러의 사랑, 타라 농장을 지키기 위한 스칼렛의 노력을 그린 역사 로맨스 작품이지만, 흑인 묘사와 남부 백인 중심 시각에 대한 논란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말모이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말모이 극장 개봉 포스터
극장 개봉 포스터
원제말모이
로마자 표기Malmo-i
감독엄유나
제작더 램프
각본엄유나
출연유해진, 윤계상, 김홍파, 우현, 김태훈, 김선영, 민진웅, 송영창, 허성태
음악조영욱
촬영최영환
편집김상범, 정원준
제작사더 램프
배급사롯데컬처웍스, 인터필름
개봉일2019년 1월 9일 (대한민국)
상영 시간135분
제작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흥행 수익2140만 미국 달러

2. 줄거리

1940년대 일제강점기 경성, 극장 매표원으로 일하던 판수(유해진)는 해고당한 뒤 일거리를 찾다 조선어학회에서 허드렛일을 하게 된다. 까막눈 판수는 그곳에서 사전을 만들기 위한 낱말(단어)를 수집하고 있는 사람들의 열정에 동화되기 시작한다. 친일파 아버지에 대한 반감으로 가득 찬 조선어학회 대표 류정환(윤계상)은 '말모이' 작업에 헌신하지만, 일제는 감시망을 더욱 죄어온다. 과연, '말모이' 작업을 완료할 수 있을까.[19]

김판수는 일제강점기 당시 한국어를 읽거나 쓰는 것은 물론 한글을 포함한 어떤 언어도 읽고 쓸 줄 모르는 문맹이었다. 학교에서 한국어 교육은 일제에 의해 금지되어 있었다. 그는 조선어학회의 한 대표를 만나 한국어 사전을 발간하기 위해 힘을 합친다.[3][4]

배경은 1940년대 일제강점기 조선경성 (현: 대한민국 서울)이다. 절도 등으로 생계를 유지하던 팔푼이 판수(유해진)는 아들 덕진의 중학교 학비를 마련하기 위해 정환(윤계상)의 가방을 훔친다. 덕진도 다니는 경성제일중학교 이사장의 친일파 아버지를 둔 부유한 집안의 아들인 정환은, 잃어가는 민족의 언어를 지키기 위해 아버지 몰래 조선어 사전을 만들려고 한다. 일제강점기 조선에서는 조선어 사용이 규제되어, 쓰는 말이나 이름마저 일본식으로 바꿔야만 했던 시대였다.

한편 판수는 학교에 다닌 적이 없어 모국어인 조선어의 읽고 쓰는 법조차 모르는 문맹이었다. 조선어학회(현: 한글 학회) 대표인 정환을 만난 판수는 사전 제작을 통해 모국의 언어의 소중함을 깨닫고, 동료들과 함께 각지의 방언 등 온갖 말을 수집해 나간다. 그러나, 조선총독부에 의한 탄압은 점점 더 심해진다.

3. 등장인물

다음은 영화 말모이의 등장인물 목록이다. 주요 인물, 악역, 주변 인물, 특별출연을 제외한 나머지 출연진은 표로 정리하였다.[18]



배우역할
송부건가와모토 역
이서환이 부장 역
이호철기도부장 역
박경근간판부장 역
유순웅함경도 교사 역
백경윤황해도 교사 역
이동용경상도 교사 역
채동현전라도 교사 역
서영주충청도 교사 역
김남훈강원도 교사 역
정기섭덕진 담임 교사 역
김도엽남철 역
전진기정무총감 역
전병덕연맹이사 역
이영호해주야학 교사 1 역
구민혁해주야학 교사 2 역
김문식판수집 우체부 역
오희준체신국 우체부 역
장유경성역 창고 직원 역
조유신전차 일본인 사내 1 역
김대현전차 일본인 사내 2 역
이현걸서대문형무소 교도관 역
권혁경성역 일본남 역
강전영보고 경찰 역
송형수류완택 비서 역
이새로미선술집 주인 역
김규백판수패거리 평양 역
서문호판수패거리 혜산 역
노영주판수패거리 부여 역
조승구판수패거리 함흥 역
윤영균판수패거리 안동 역
김철무판수패거리 강릉 역
오경민판수패거리 온양 역
이다일판수패거리 제주 역
최윤빈판수패거리 부산 역
이동현판수패거리 의성 역
조석인판수패거리 고성 역
박원석판수패거리 목포 역
차준서시옷 여학생 역
구준우박길남 역
이강우박길남 형 역
김태율민들레 학생 1 역
조수빈민들레 학생 2 역
조용진덕진 친구 1 역
송지호징병 학생 1 역
김세한징병 학생 2 역
지원호징병 학생 3 역
김민석징병 학생 4 역
윤준열징병 학생 5 역
서영재복도 학생 역
정원인력거 잡지 학생 역
박준희사랑의 역사 아이 1 역
윤준상사랑의 역사 아이 2 역
고재원사랑의 역사 아이 3 역
유상재북만주 일본장교 역
이육헌일본어 간판 가게 사장 역
신재영모자가게 주인 역
정임섭경성역 매표소 직원 역
김동효경성역 인력거꾼 역
강태수기차 간식팔이 역
김서윤김인옥 역
윤준호경찰 간부 역
김학충헌병 간부 역
오규택옆자리 신문 승객 역
임수지옆자리 여승객 역
박성용포스터 일본장교 역
조성운책방 아기손님 역
김한빛전차 기사 역
한대훈창고 일본경찰 역
유용희자전거 상인 역
강유미경성역 방송 / 일본인 군중 녹음 역
명인호병정님 군인 녹음 역
선승수경찰 녹음 역
박영서동요 반달 녹음 역
후지모토 신스케일본인 군중 녹음 역
요네다 사치코일본인 군중 녹음 역
카와카미 에리코일본인 군중 녹음 역
김길범일본인 군중 녹음 역
가네코 신이치일본인 군중 녹음 역


3. 1. 주요 인물

3. 2. 악역


  • 송영창: 류완택 역 - 본작의 '''메인 빌런'''이자 '''페이크 최종 보스'''.[1]
  • 허성태: 우에다 역 - 본작의 '''진 최종 보스'''.[1]

3. 3. 주변 인물

3. 4. 특별출연

4. 역사적 배경

영화는 1930년대 후반부터 1940년대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한다. 이 시기, 우리말과 글은 억압받았고, 학교에서는 일본어 교육이 강요되었다. 조선어학회는 이러한 탄압 속에서도 우리말을 지키기 위해 비밀리에 사전 편찬 작업인 '말모이'를 진행했다.

당시 조선에서는 조선어 사용이 규제되어, 쓰는 말이나 이름마저 일본식으로 바꿔야만 했다.

4. 1. 조선어학회와 조선어학회 사건

이 영화는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을 바탕으로, 조선어학회의 활동을 재구성한 것이다.[3][4] 조선어학회는 일제강점기에 우리말과 글을 지키기 위해 설립된 단체로, 현 한글학회의 전신이다.

1930년대 후반부터 1940년대에 걸쳐 한국은 일본 제국의 통치하에 있었고, 한국어는 그 지위와 중요성이 "격하"되었으며, 1938년에는 일본어를 우선시하며 한국어 사용이 완전히 금지되었다.[5] 이러한 상황에서도 조선어학회 학자들과 회원들은 사전을 만드는 일을 계속했다.

1942년에는 30명 이상의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일본군에 의해 체포되어 투옥되었고, 그 중 2명이 옥사했다.[6] 조선어학회는 1945년 일본이 연합국에 항복하여 한국이 독립을 되찾을 때까지 활동을 재개하지 못했다.[7] 이는 우리 민족에게 큰 아픔이자, 동시에 우리말과 글을 지키기 위한 저항의 상징으로 기억되고 있다.

5. 영화 정보 및 평가

2018년 12월 18일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에서 <말모이> 언론시사회가 열렸고, 엄유나 감독과 주연 배우 유해진, 윤계상이 참석했다.[23] 2019년 1월 9일 개봉하여 첫 주말까지 118만 명, 최종 28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했다.[24] 영화는 우리말과 글을 지키기 위한 노력을 감동적으로 그려냈다는 호평을 받았다.[2][9]

5. 1. 수상 내역

연도시상식부문수상자(작)
2019황금촬영상최우수 여우조연상김선영
2019파리한국영화제페이사쥬엄유나
2020대종상 영화제기획상후보
2020피렌체 한국영화제온라인 영화상엄유나
2020오사카 아시안 필름 페스티벌특별기획후보


참조

[1] 웹사이트 MAL·MO·E: The Secret Mission (2019) http://koreanfilm.or[...]
[2] 뉴스 'Mal-Mo-E': an analog film that captivates digital generation https://www.koreatim[...] 2019-01-13
[3] 웹사이트 [여의도 책방] 영화 '말모이'와 함께 보는 우리말의 탄생 http://news.kbs.co.k[...] 2019-06-14
[4] 웹사이트 '말모이' 실제 주인공, 이극로 선생의 눈물겨운 삶 http://www.ohmynews.[...] 2019-06-14
[5] 뉴스 Period piece 'Mal-Mo-E' shows fight to keep alive Korean identity http://www.koreahera[...] 2018-12-03
[6] 서적 Language and National Identity in As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7] 웹사이트 [FICTION VS. HISTORY] The dramatic history of 'Mal_Mo_E': Film about the creation of the first hangul dictionary stays pretty close to the facts https://koreajoongan[...] 2019-01-22
[8] 웹사이트 Korea Box Office: Local Titles 'Mal-Mo-E' and 'Dude' Beat 'Ralph Breaks the Internet' https://variety.com/[...] 2019-01-15
[9] 뉴스 [Herald Review] 'Mal-Mo-E' has heart, comedy, great characters and a beautiful story http://www.koreahera[...] 2018-12-19
[10] 뉴스 《"우리말을 모아모아" 영화 '말모이'》 https://vertical.kbs[...] 2019-12-20
[11] 웹사이트 KOFIC KOBIS https://www.kobis.or[...]
[12] 뉴스 ユ・ヘジン&ユン・ゲサン主演映画「言葉集め」1月に韓国で公開決定…第1弾ポスターを公開 https://news.livedoo[...] 2018-11-22
[13] 뉴스 映画「マルモイ」が描く 禁じられた朝鮮語の辞書作り https://globe.asahi.[...] 2020-01-25
[14] 뉴스 ユ・ヘジン&ユン・ゲサン主演映画「言葉集め」観客動員数200万人を突破! https://news.kstyle.[...] 2019-01-21
[15] 뉴스 《第15回大阪アジアン映画祭》が3月6日(金)に開幕! (1/3) http://kansai.pia.co[...] 2020-02-21
[16] 뉴스 「タクシー運転手 約束は海を越えて」の脚本家オム・ユナが初監督&脚本!ユン・ゲサン×ユ・へジン主演『マルモイ ことばあつめ』公開決定! https://cinefil.toky[...] 2020-02-21
[17] 뉴스 日本統治下の朝鮮半島、失われゆく母国語を守るための辞書作りを描く「マルモイ ことばあつめ」 https://eiga.com/new[...] 2020-03-13
[18] 웹사이트 マルモイ ことばあつめ https://inter-film.c[...]
[19] 문서 사실 조선어학회 사건은 배경이다. 실제 사실과는 많이 다른데, 예로 실제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사망한 사람은 2명인데, 영화에서는 1명만 고문으로 사망했다.
[20] 문서 어린 장보리/중학생 김순희 역
[21] 문서 어린 이재희/김덕진 역
[22] 문서 강내천 부하/서대문형교도소 교도관 역
[23] 뉴스 KBS 스토리매거진 http://vertical.kbs.[...] 2019-12-20
[24] 웹인용 영화진흥위원회 연도별박스오피스 http://www.kobis.or.[...] 2019-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